복사 및 우클릭이 제한되었습니다
2026년 장기요양 재가 평가지표 상세 변경 가이드 | carei4y

2026년 장기요양 재가 평가지표 상세 변경 가이드

2026년 장기요양 평가지표 상세 변경 가이드

2026년 장기요양 평가지표 변경사항: 상세 가이드 및 대비 전략

내년도 장기요양 평가지표가 발표되었습니다. 평가 기준이 더욱 구체적이고 엄격해진 만큼, 변경된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지표의 변경사항을 자세히 분석해 드립니다.

주요 변경 및 삭제 지표

지표 11. 위생적인 급여 (삭제)

어르신 급여 문제만 없으면 감점 없는 우수 지표였던 것이 아예 삭제되었습니다. 이는 평가지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변경으로 보입니다.

지표 12. 서비스 질 향상 (대부분 신설)

경영 실태 조사를 제외하고 대부분 신설된 지표입니다. 특히 직원 인권 비율과 관련된 내용이 강조되었습니다. 요양 보호사 및 서비스 품질 향상 사업에 참여해야 인정을 받을 수 있으며, 인지 프로그램 관련 교육을 반기 1회 이상 실시해야 합니다.

지표 13. 인지지원 (삭제)

기존에 우수 점수를 받기 쉬웠던 지표가 삭제되어 다른 지표에서 점수를 확보해야 합니다.

지표 14. 건강검진 (변경)

건강검진 확인 방법이 EDI를 통해서도 가능해졌습니다. 기존 2점에서 5점으로 배점이 상향되어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한 명이라도 누락되면 감점됩니다.

지표 15. 급여수급자의 급여제공 관련 (변경)

어르신 댁에 급여제공계획서 비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질문에 답변을 잘해도 감점될 수 있으므로 매뉴얼을 잘 숙지해야 합니다.

지표 17. RFID (삭제)

태그 오류 90%만 인정해도 3점을 받던 지표가 삭제되었습니다.

지표 19. 급여이용 관련 정보 (일부 삭제, 변경)

홈페이지에 올린 정보만 확인하며, 점수가 3점에서 1점으로 변경되어 비중이 줄었습니다.

지표 21. 노인인권보호 (변경)

노인인권 교육을 반기별 1회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교육 내용과 증빙 서류도 확인하며, 기존에 없었던 지표인 '감염예방 및 노인인권 관련 지표'가 추가되었습니다.

세부 평가지표 변경사항

지표 22. 낙상, 욕창, 인지조사 (변경)

반기별 1회 이상으로 변경되었으며, 각 평가를 모두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서류 작업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표 23. 조사 내용 (변경)

수급자 급여제공계획에 연 1회 이상 반영하고, 급여제공 시작일까지 통보해야 합니다. 통보확인서 및 통보 상태가 평가 기준으로 추가되었습니다.

지표 25. 직원인권보호 (신설, 변경)

직원 인권보호를 위한 교육은 포스터를 붙이는 것만으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수급자 및 보호자 대상 '인권 존중 및 관련 내용'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며, 기존에 없었던 '인권침해 대응 교육'도 의무화되었습니다.

지표 27. 신체유지 및 향상 (삭제)

어렵지만 감점이 적었던 지표였으나, 깔끔하게 삭제되었습니다.

지표 30. 사례회의 (변경)

참석 인원 기준이 명확해졌으며, 사례회의 과정과 결과 평가도 기록해야 합니다. 분기 1회만 하거나 실수가 있으면 최대 -6점까지 감점됩니다.

지표 31. 수급자 신체청결 (삭제)

3점을 쉽게 받던 지표가 삭제되었습니다.

지표 32. 수급자 등급유지 (삭제)

준비할 것이 없어 부분 점수를 받던 지표가 삭제되었습니다.

지표 33. 연명의료 의향서 안내 (신설)

수급자를 대상으로 연명의료 결정제도를 안내하고 확인하는 내용이 신설되었습니다. 확인 방법은 시설장과 면담입니다.


공단 홈페이지

공단 홈페이지

위 버튼을 누르면 공단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위 내용은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며, 공식적인 평가지표 매뉴얼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반드시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의 공식 자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이전